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공부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과 Redundancy, 네트워크 안정성의 비밀

by think2144 2024. 10. 29.

네트워크 환경에서 갑작스러운 장비 고장이나 통신선 문제로 인해 서비스가 끊기는 경험,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특히 중요한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네트워크라면 잠깐의 중단도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빛을 발하는 기술이 바로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 Spanning Tree Protocol)입니다.  STP는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중복 경로를 구축하여 장비나 통신선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서비스가 계속 유지되도록 돕는 핵심 기술입니다. 오늘은 네트워크 안정성과 가용성을 책임지는 STP의 개념, 특히 **Redundancy(중복성)**에 초점을 맞춰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네트워크 루프, 왜 문제일까요?

네트워크에서 루프(Loop)가 발생하면 마치 뫼비우스의 띠처럼 데이터가 계속해서 순환하게 됩니다. 이는 마치 끊임없이 돌아가는 회전목마처럼 네트워크 성능을 저하시키고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는 네트워크 장비 간의 연결을 담당하며,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이 스위치들이 서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잘못된 설정이나 구성으로 인해 루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는 Flooding이라는 기능을 통해 데이터를 모든 포트로 전달합니다. 이는 마치 우체부가 모든 집에 편지를 배달하는 것과 같습니다. 목적지가 불분명한 데이터나 브로드캐스트 데이터가 발생하면 스위치는 이를 모든 포트로 전달하는데, 만약 네트워크에 루프가 있다면 데이터는 계속해서 순환하며 브로드캐스트 스톰(Broadcast Storm) 현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브로드캐스트 스톰은 네트워크 대역폭을 고갈시키고, 스위치의 CPU 부하를 증가시켜 결국 네트워크가 마비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루프는 **MAC 주소 테이블(MAC Table)**의 불안정성을 야기합니다. 스위치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MAC 주소를 기반으로 목적지 포트를 찾는데, 루프가 발생하면 동일한 MAC 주소가 여러 경로를 통해 도착하여 스위치의 MAC 테이블이 혼란스러워집니다. 마치 주소가 같은 집이 여러 곳에 있는 것처럼 스위치가 혼란스러워지는 것이죠. 이로 인해 네트워크 통신이 불안정해지고, 데이터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Redundancy를 위한 STP, 네트워크 안정성의 지킴이

**Redundancy(중복성)**는 네트워크 장비나 통신선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예비 장비나 경로를 마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치 자동차의 예비 타이어처럼,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여 미리 준비해 놓는 것이죠. 이러한 Redundancy는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가용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앞서 설명했듯이 네트워크에 루프가 존재한다면 Redundancy는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은 바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 STP는 네트워크에 **중복 경로(Redundant Link)**를 구축하면서도 루프를 방지하여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입니다. 마치 복잡한 도로망에서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해 일방통행을 지정하는 것과 같습니다. STP는 네트워크 장비 간에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라는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루프를 탐지하고, 특정 포트를 차단하여 논리적인 트리 구조를 형성합니다.

 

STP는 네트워크에 중복 경로를 제공하여, 특정 링크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경로를 통해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단일 장애 지점(Single Point of Failure)을 방지합니다.  네트워크 장애로 인한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하는 것이죠. 또한, STP는 브로드캐스트 스톰을 방지하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STP의 핵심 원리, 루프 방지와 BPDU

STP는 어떻게 루프를 방지하고, 네트워크 안정성을 유지할까요? 그 핵심에는 루프 방지와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라는 두 가지 중요한 개념이 있습니다.

 

STP는 여러 스위치 간의 연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 루프를 제거하기 위해 특정 포트를 차단합니다. 마치 복잡한 미로에서 길을 찾기 위해 특정 길을 막아 놓는 것과 같습니다. 이렇게 포트를 차단함으로써 이더넷 프레임이 무한히 순환하는 것을 방지하고,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또한, STP는 스위치 간에 상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라는 메시지를 사용합니다. 마치 스위치들이 서로 대화를 주고받는 것처럼, 네트워크의 변경 사항을 상호 공유합니다. 스위치들은 BPDU를 통해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변화를 감지하고, 루프를 탐지하며 차단할 포트를 결정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STP는 항상 네트워크의 최적화된 경로를 유지하고, 예상치 못한 문제 발생 시에도 네트워크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합니다.

 


STP의 발전, RSTP와 MSTP


STP는 처음 등장한 이후 꾸준히 발전해왔습니다. 특히 **RSTP(Rapid Spanning Tree Protocol)**와 **MSTP(Multiple Spanning Tree Protocol)**는 STP의 기능을 개선하여 더욱 빠르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는데 기여했습니다.

 

RSTP는 STP의 수렴 속도를 향상시킨 프로토콜입니다. STP는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변경될 때 수렴하는 데 시간이 걸렸지만, RSTP는 이러한 시간을 단축하여 네트워크 장애에 대한 대응 속도를 높였습니다. 마치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는 구급대원처럼, RSTP는 빠르게 네트워크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MSTP는 VLAN별로 별도의 스패닝 트리를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네트워크 환경이 복잡해지고, VLAN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STP는 관리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MSTP는 VLAN을 그룹으로 묶어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네트워크 관리의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STP, RSTP, MSTP는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적절한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많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RSTP가 STP를 대체하며 사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STP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설정과 주요 용어 정리

네트워크 관리자들은 STP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설정을 수행합니다. 스위치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Root Bridge를 선정하는 등의 작업을 통해 네트워크 환경에 최적화된 스패닝 트리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STP와 관련된 주요 용어들을 알아두면 네트워크 관리 및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됩니다.

 

  • Root Bridge: 스패닝 트리에서 가장 상위에 위치하는 스위치입니다. 네트워크의 다른 스위치들은 Root Bridge를 기준으로 경로를 설정합니다. 마치 조직의 최고 책임자처럼, Root Bridge는 스패닝 트리의 중심 역할을 합니다.
  • Root Port: 각 스위치에서 Root Bridge로 연결되는 포트입니다. 마치 회사의 본사로 연결되는 통로와 같습니다.
  • Designated Port: 각 세그먼트에서 다른 스위치로 연결되는 포트입니다. 마치 각 부서에서 다른 부서로 연결되는 통로와 같습니다.
  • Alternate Port: Root Port나 Designated Port로 선택되지 않은 포트입니다. 일반적으로 차단되어 트래픽을 전달하지 않습니다. 마치 사용되지 않는 통로와 같습니다.
  •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 스위치 간에 스패닝 트리 정보를 교환하는 데 사용되는 메시지입니다. 마치 스위치 간의 대화와 같습니다.
  • Bridge ID: 스위치의 고유 식별자입니다. 스위치의 우선 순위와 MAC 주소를 포함합니다. 마치 각 스위치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습니다.
루트 브리지(Root Bridge) 스패닝 트리에서 가장 상위에 위치하는 스위치
루트 포트(Root Port) 각 스위치에서 루트 브리지로 연결되는 포트
지정 포트(Designated Port) 각 세그먼트에서 다른 스위치로 연결되는 포트
대체 포트(Alternate Port) 루트 포트나 지정 포트로 선택되지 않은 포트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 스위치 간에 스패닝 트리 정보를 교환하는 메시지
브리지 ID(Bridge ID) 스위치의 고유 식별자

용어 설명

 

오늘 알아본 내용 어떠셨나요? 네트워크 안정성과 가용성을 확보하는데 필수적인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에 대해 잘 이해하셨기를 바랍니다. 혹시 네트워크 관련 다른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저희 블로그를 방문해주세요!

 

다음에도 유익한 네트워크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 다른 유익한 포스팅도 많으니, 블로그 구독과 함께 다른 게시글도 방문해주세요!